차량 운전하다보면 필수로 숙지하면 도움이 되는 차량계기판 경고등 정보입니다.
엔진, 엔진오일, 충전, 에어백, TPMS VDC,
냉각수 수온등, ABS 차량계기판 경고등 까지 차근차근 살펴볼께요.
▶ 엔진경고등
어떻게보면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는 엔진의 작동과 관련된 표시등입니다.
엔진이 잘 작동하도록 돕는 전자 제어장치 및 배기가서 제어에 이상이 발생하면 점등되며,
여기에 불이 들어오면 가능한 빨리 정비소에 방문해야합니다.
주행시 시동이 꺼지면 돌이킬수없을만큼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 엔진오일경고등
보통 주유할때 함께 갈아주면 좋은 엔진오일의 경우, 저는 2만키로당 넣어주고 있는데요~
만일, 이 엔진오일 부족하게되면 유압이 낮아지게됩니다.
엔진오일 차량계기판 경고등 켜지면 엔진오일 양을 점검해보시고
부족할 시 보충하시면 되고 보충하고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정비소로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엔진오일 누유와 오버홀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리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충전경고등
정차시 해당 표시등에 불이 들어왔다면 거의 배터리 방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때, 다른차와 점퍼하여 시동을 켜서 30분이상 주행 혹은 시동유지하시길 바랍니다.
정차시가 아니라면 충전장치 고장 혹은
자동차 내부의 팬 배터리가 방전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가까운 수리점에 방문하세요.
▶ 에어백경고등
사고시 몸을 지켜주는 에어백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입니다.
안전을 위해 정비소에서 수리하시면 됩니다.
▶ TPMS경고등
타이아 공기압과 관련되며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아졌을때 발생합니다.
기압이 불균등해 질경우 차량이 한쪽으로 쏠릴 수 있으며
그럴경우 주행시 핸들링이 어려워져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으므로
타이어 점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 VDC경고등
브레이크 압력과 엔진 출력제어장치에 이상이 생긴경우입니다.
이 경우 지속되면 스스로 노면의 미끄러움을 감지해서 브레이크 및
엔진 출력 제어가 원활히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VDC장치를 수리하셔야합니다.
▶ 냉각수수온등
엔진 온도를 조절해주는 장치에 이상이 생겼을때 발생합니다.
즉, 냉각수의 온도가 120도 전후일때 적색등이 들어오며
엔진이 과열을 제어할 수 없는 경우,
엔진에서 연기가 나며 심한경우 불이날 수 도 있으니 유의하세요.
▶ ABS경고등
비가 오거나 눈이오는 등 노면상태가 안좋을때
브레이크를 밟았다 뗏다 엄청 빠르게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특수 브레이크 장치입니다.
특히 장마가 많은 여름철이나 도로가 얼기 쉬운 겨울철 전에
ABS 차량계기판 경고등 신경써서 관리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생소한 표현이 많은만큼 어려울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위에 설명드린 표시등은 숙지하시면 안전에 도움이 되실거같아요.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니 네비게이션 업데이트 쉬워요 (0) | 2017.07.27 |
---|---|
기아자동차 5월 구매혜택 (0) | 2017.05.12 |
부동액 교환주기 알아보기 (0) | 2017.04.19 |
주차된차 뺑소니 물피도주 대처방법 (0) | 2017.03.29 |
쏘카 주행요금 차량종류별로 정리! (0) | 2017.03.13 |